야마토동영상 ㉵ 84.rhu211.top ㉵ 바다이야기무료체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함운강희 작성일25-06-22 10:50 조회12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53.rsc791.top 8회 연결
-
http://23.rtm452.top 7회 연결
본문
【27.rhu211.top】
야마토게임다운오리지날릴게임해저이야기사이트한국파칭코
(전국종합=연합뉴스) "올해도 또 잠길 텐데 벌써 걱정이네. 비가 적게 내리길 바라면서 하늘만 쳐다볼 수밖에…"
전북 익산시 용동면 대조마을 이장 김종원(66)씨는 이른 장마가 시작된 지난 19일 하천 정비사업이 한창인 대조천 인근 상습 침수 지역을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었다.
장맛비가 이미 내리기 시작했지만, 제방 옆 저류지 공사 현장에서는 한 삽이라도 더 깊게 파내겠다는 듯 삼성SDI 주식
굴삭기와 트럭이 둔탁한 기계음 속에서 쉴 새 없이 움직였다.
부산스러운 중장비들과 달리 김씨의 표정에서는 이미 자포자기한 듯 희망의 빛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김씨는 "빗물을 모아두는 저류지를 판다고 해서 한꺼번에 들이치는 물을 막을 수는 없다"면서 "하천 정비 사업이 모두 마무리되는 2030년까지는 장마 때마다 침수영원무역홀딩스 주식
를 막을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것을 주민들도 다 안다"고 탄식했다.
익산 대조천 저류지 공사 현장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19일 전북 익산시 용동면 대조천 인근 하천정비사업 현장에서 중장비들이 저류지 공사를 하고 있다. 2025.6.20 chinakim@yna.cLG전자 주식
o.kr
금강과 금강지류인 산북천, 대조천이 흐르는 익산시 망성면과 용동면, 용안면 일대는 지난해 400㎜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로 마을과 농경지 대부분이 침수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비닐하우스 9천790동과 축사·양어장 105곳이 물에 잠겼고, 10개 마을에서 60빠찡코
0여명이 대피했다. 수해로 인한 피해액은 40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뿐 아니라 2017년과 2023년에도 금강이 역류하거나 제방이 무너져 농경지가 물에 잠기는 등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이 지역의 빈번한 침수 피해는 지형적인 원인이 크다. 지대가 낮은 데다가 짧은 시간 폭우가 쏟아지면 물이 한꺼번에 금강으로 몰려든다. 금전자주
강 수위가 올라가면 지류 하천의 물이 하류로 흐르지 못하고 역류해 제방을 넘거나 제방을 무너뜨려 인근 농경지를 덮친다.
익산 망성면 비닐하우스 단지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지난해 400㎜ 폭우로 침수 피해를 입었던 전북 익산시 망성면 비닐하우스 단지의 모습. 2025.6.20 chinakim@yna.co.kr
익산시는 이런 지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천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천 폭을 넓히고, 금강과 지류 하천의 수위 역전 시 역류를 막고 인공적으로 물을 퍼낼 수 있게 배수문과 펌프 시설을 추가 설치하는 게 주요 골자다.
문제는 대규모 수리 사업이 완공되려면 1천765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야 하고, 예산이 확보돼도 5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결국 주민들은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불안에 떨며 오롯이 견디는 것 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다.
지난해 외돈마을 제방 붕괴로 피해를 입은 김채희(67)씨는 "매년 침수 피해가 반복되지만,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에 더 무력감을 느낀다"면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가 돼도 정상적으로 농사를 짓는 것과 비교하면 보상액이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실질적인 보상책이라도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유수길 익산시 하천시설계장은 "아무리 방법이 없다고 해도 하천 정비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가만히 두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며 "예산 확보를 위해 정부에 협조를 요청하고, 상습 범람 지역을 중심으로 임시 저류지를 확보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익산 외돈마을 제방 붕괴 복구 현장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지난해 400㎜ 폭우로 제방이 붕괴된 전북 익산시 낭산면 산북천 상류 지역 복구공사 현장. 2025.6.20 chinakim@yna.co.kr
1년 전 수마가 할퀴고 간 상흔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도 반복되는 수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0일 취재진이 찾은 마을에는 도로 아스팔트 일부가 떠 있는 채로 깨져 있었고, 일부 비닐하우스는 복구가 안 된 상태로 토사가 그대로 묻어 있었다.
갑천 상류에 위치한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10일 집중 호우로 천변에 있던 제방이 무너지며 순식간에 들이닥친 급류에 온 마을과 27가구가 침수되고 주민 36명이 고립됐다 구조됐다.
물이 온 마을을 덮친 끔찍한 기억은 주민들에게 큰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 이미 시작된 이른 장마 빗줄기가 거세지자 마을회관에 있던 노인들은 창문 밖을 초조하게 바라봤다.
문옥남(85)씨는 "저번 주에 비가 많이 왔을 때도 너무 무서워서 혹시라도 물이 쳐들어오진 않을까 괜히 창문을 열어보고 계속 밖을 쳐다봤다"며 "경기도에 사는 딸이 비가 올 때마다 전화를 걸어 여기(대전)는 괜찮은지 걱정한다"고 전했다.
토사가 묻어 있는 비닐하우스 [촬영 강수환]
1년 가까이 지난 지금 다시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됐지만 무너졌던 제방은 여전히 복구 중이다. 복구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제방 사면에 돌을 끼워 넣어 무너지지 않게 하는 호안 작업을 마무리하고 있었다.
대전시에서는 지난 4월 갑천 준설 작업을 끝내는 등 수해 피해를 위해 대비했다고 하지만 주민들에게는 여전히 아쉬운 부분들이 많다.
마을에서 오이 비닐하우스 농사를 짓는 김환수(69)씨는 "튼튼하게 제방을 쌓아달라고 했지만, 여전히 공사 중이고 준설작업도 제대로 안 됐다"며 "마을의 물을 바깥으로 빼내는 펌프장의 펌프 용량을 높여달라고 계속 요구했으나 아직도 바뀐 게 없다"고 하소연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준설은 강의 하중도와 퇴적물 등을 제거하는 정도의 작업만 했다"며 "정비 준설은 홍수위 등을 측정해 하천기본계획에 반영이 돼야 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금강유역환경청과 협의해 하천 정비와 방재 시설 확충을 병행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김환수 씨는 지난해 수해는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라고 주장했다.
그는 "물이 한꺼번에 하천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방의 약한 부분이 터졌고 그래서 마을이 물에 잠긴 것"이라며 "예산을 제대로 확보해 사전에 충분히 호우 피해를 막을 노력을 한다면 작년과 같은 인재는 다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갑천 상류 제방 복구 작업 현장 [촬영 강수환]
100여명이 모여 사는 충북 제천시 금성면 주룽 2리 마을도 상황은 비슷하다.
박동연 이장은 마을 일대가 물에 잠겼던 5년 전인 2020년 여름을 여전히 잊지 못한다. 그해 8월 2일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물 폭탄이 온종일 퍼붓더니 마을을 가로지르는 대사천(소하천) 물이 역류하기 시작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천에서 200m가량 떨어진 초등학교까지 물이 차올랐다.
이날 하루에 내린 비의 양만 259㎜. 다행스럽게 별다른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일부 주민은 긴급 대피했고 주택 일부도 침수됐다. 하천 주변 농경지가 물에 모두 잠겨 농민들은 한 해 농사를 포기해야만 했다.
청풍호(충주호의 제천 지명)로 유입되는 길이 4.75㎞의 대사천은 여름 장마철을 제외하고 대부분 말라 있다. 하지만 장마철이면 무섭게 돌변한다. 물길이 좁은 데다 제방도 낮은 터라 폭우만 오면 금세 차올라 마을을 위협한다.
박 이장은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엄청난 양의 비가 순식간에 내리는 사례가 많다고 하는 데 올여름은 무사히 넘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충북 제천시 금성면 대사천 [촬영 김형우]
시는 올해 장마철을 앞두고 예방적 차원에서 하천 일부 구간에 대한 퇴적물 준설 공사를 했다. 하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해 대대적인 하천 정비가 필요하다는 게 주민들의 요구다.
이런 지적에 따라 시는 2022년 이곳을 재해예방지구(대사지구)로 지정하고, 국비를 확보해 하천 주변 3만6천㎡를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듬해 행정안전부 정비사업 공모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지금껏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한 주민은 "시간이 많이 흘렀는데도 아직 정비가 이뤄지지 않으니 답답할 따름"이라며 "여름철에 맘 편히 살아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진방 김형우 강수환 기자)
swan@yna.co.kr
vodcast@yna.co.kr
china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야마토게임다운오리지날릴게임해저이야기사이트한국파칭코
오리지널야마토 ㉵ 79.rhu211.top ㉵ 손오공
알라딘릴게임오락실 ㉵ 87.rhu211.top ㉵ 실시간파워볼
바다이야기 ㉵ 22.rhu211.top ㉵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온라인 릴게임 ㉵ 63.rhu211.top ㉵ 황금성 다운로드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오션파라다이스예시 온라인 릴게임 손오공 슬롯 릴 게임 온라인신천지게임 체리마스터 확률 블랙잭하는법 온라인 손오공 릴게임 릴게임 꽁머니 오션파라 다이스7 바다이야기꽁머니 릴게임사이다 모바일신천지 온라인릴게임사이트 바다이야기 공략법 모바일야마토 다빈치다운로드 알라딘 게임 다운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슬롯게시판 바다신 게임 무료 야마토게임 릴게임뽀빠이 슬롯머신 정글북 무료슬롯체험 황금성 릴게임 알라딘예시 프라그마틱 무료게임 슬롯머신추천 파칭코사이트 야마토게임하기 다빈치릴게임 바다이야기파칭코 종합 릴게임 오션파라다이스7게임 알라딘게임다운 릴게임 신천지 야마토3게임다운로드후기 신규슬롯사이트 성인릴게임 피망로우바둑이 릴게임천국 야마토3동영상 황금성매장 안전 슬롯사이트 온라인슬롯 전략 릴게임 무료충전게임 바다시즌7 로또달팽이 황금성게임 jQuery 슬롯 머신 야마토게임공략법 무료충전 바다이야기 신규슬롯사이트 체리마스터 릴게임 바다이야기pc 오션파라 다이스게임 하는법 프라그마틱 홈페이지 오리지날게임 온라인파칭코 백경게임다운로드 황금성게임종류 알라딘게임 프라그마틱 순위 유희왕황금성 우주전함 야마토게임 신규 릴게임 릴게임골드몽 릴게임먹튀검증 체리마스터게임 황금성연타 릴게임매장 바다이야기 배당 릴게임동영상 바다이야기 릴게임 사이트 추천 및 안내 야마토무료게임 무료 바다이야기 황금성포커성 야마토3동영상 신천지게임 하는방법 릴황금성 무료백경 슬롯머신추천 릴게임황금성오션바다 온라인삼국지 오토 야마토5다운로드게임사이트 오션슬롯 주소 온라인식보 무료충전 릴 게임 고전릴게임 오락실황금성 파칭코 강원랜드 슬롯 잘 터지는 기계 오션파라다이스 다운 게임몰릴게임 바다신2다운로드 야마토 빠칭코 황금성 게임랜드 황금성 슬롯 무료슬롯버프 릴짱 바다신2 게임 프라그마틱 무료슬롯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7 777 무료 슬롯 머신 야마토카지노 프라그마틱 슬롯 사이트 오리지날황금성9게임 슬롯 잘 터지는 온라인슬롯머신 모바일오션파라다이스7 릴게임골드몽사이트 야마토예시 바다이야기릴게임사이트추천및안내 져스트릴게임 릴게임강시 슬롯게임 무료 야마토3게임 실시간바둑이 황금성게임공략법 먹튀 피해 복구 황금성릴게임 바다이야기다운로드 신천지게임 하는곳 무료슬롯게임 익산 용동면 하천정비사업 현장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19일 전북 익산시 용동면 대조천 인근 하천정비사업 현장에서 대조마을 이장 김종원씨가 상습 침수 구역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5.6.20 chinakim@yna.co.kr(전국종합=연합뉴스) "올해도 또 잠길 텐데 벌써 걱정이네. 비가 적게 내리길 바라면서 하늘만 쳐다볼 수밖에…"
전북 익산시 용동면 대조마을 이장 김종원(66)씨는 이른 장마가 시작된 지난 19일 하천 정비사업이 한창인 대조천 인근 상습 침수 지역을 바라보며 한숨을 내쉬었다.
장맛비가 이미 내리기 시작했지만, 제방 옆 저류지 공사 현장에서는 한 삽이라도 더 깊게 파내겠다는 듯 삼성SDI 주식
굴삭기와 트럭이 둔탁한 기계음 속에서 쉴 새 없이 움직였다.
부산스러운 중장비들과 달리 김씨의 표정에서는 이미 자포자기한 듯 희망의 빛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김씨는 "빗물을 모아두는 저류지를 판다고 해서 한꺼번에 들이치는 물을 막을 수는 없다"면서 "하천 정비 사업이 모두 마무리되는 2030년까지는 장마 때마다 침수영원무역홀딩스 주식
를 막을 방법이 사실상 없다는 것을 주민들도 다 안다"고 탄식했다.
익산 대조천 저류지 공사 현장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19일 전북 익산시 용동면 대조천 인근 하천정비사업 현장에서 중장비들이 저류지 공사를 하고 있다. 2025.6.20 chinakim@yna.cLG전자 주식
o.kr
금강과 금강지류인 산북천, 대조천이 흐르는 익산시 망성면과 용동면, 용안면 일대는 지난해 400㎜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로 마을과 농경지 대부분이 침수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다.
비닐하우스 9천790동과 축사·양어장 105곳이 물에 잠겼고, 10개 마을에서 60빠찡코
0여명이 대피했다. 수해로 인한 피해액은 40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뿐 아니라 2017년과 2023년에도 금강이 역류하거나 제방이 무너져 농경지가 물에 잠기는 등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이 지역의 빈번한 침수 피해는 지형적인 원인이 크다. 지대가 낮은 데다가 짧은 시간 폭우가 쏟아지면 물이 한꺼번에 금강으로 몰려든다. 금전자주
강 수위가 올라가면 지류 하천의 물이 하류로 흐르지 못하고 역류해 제방을 넘거나 제방을 무너뜨려 인근 농경지를 덮친다.
익산 망성면 비닐하우스 단지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지난해 400㎜ 폭우로 침수 피해를 입었던 전북 익산시 망성면 비닐하우스 단지의 모습. 2025.6.20 chinakim@yna.co.kr
익산시는 이런 지형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하천 정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천 폭을 넓히고, 금강과 지류 하천의 수위 역전 시 역류를 막고 인공적으로 물을 퍼낼 수 있게 배수문과 펌프 시설을 추가 설치하는 게 주요 골자다.
문제는 대규모 수리 사업이 완공되려면 1천765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야 하고, 예산이 확보돼도 5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다. 결국 주민들은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불안에 떨며 오롯이 견디는 것 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다.
지난해 외돈마을 제방 붕괴로 피해를 입은 김채희(67)씨는 "매년 침수 피해가 반복되지만, 뚜렷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에 더 무력감을 느낀다"면서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가 돼도 정상적으로 농사를 짓는 것과 비교하면 보상액이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실질적인 보상책이라도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유수길 익산시 하천시설계장은 "아무리 방법이 없다고 해도 하천 정비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가만히 두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며 "예산 확보를 위해 정부에 협조를 요청하고, 상습 범람 지역을 중심으로 임시 저류지를 확보하는 등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익산 외돈마을 제방 붕괴 복구 현장 (익산=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지난해 400㎜ 폭우로 제방이 붕괴된 전북 익산시 낭산면 산북천 상류 지역 복구공사 현장. 2025.6.20 chinakim@yna.co.kr
1년 전 수마가 할퀴고 간 상흔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는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도 반복되는 수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0일 취재진이 찾은 마을에는 도로 아스팔트 일부가 떠 있는 채로 깨져 있었고, 일부 비닐하우스는 복구가 안 된 상태로 토사가 그대로 묻어 있었다.
갑천 상류에 위치한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10일 집중 호우로 천변에 있던 제방이 무너지며 순식간에 들이닥친 급류에 온 마을과 27가구가 침수되고 주민 36명이 고립됐다 구조됐다.
물이 온 마을을 덮친 끔찍한 기억은 주민들에게 큰 트라우마로 남아 있다. 이미 시작된 이른 장마 빗줄기가 거세지자 마을회관에 있던 노인들은 창문 밖을 초조하게 바라봤다.
문옥남(85)씨는 "저번 주에 비가 많이 왔을 때도 너무 무서워서 혹시라도 물이 쳐들어오진 않을까 괜히 창문을 열어보고 계속 밖을 쳐다봤다"며 "경기도에 사는 딸이 비가 올 때마다 전화를 걸어 여기(대전)는 괜찮은지 걱정한다"고 전했다.
토사가 묻어 있는 비닐하우스 [촬영 강수환]
1년 가까이 지난 지금 다시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됐지만 무너졌던 제방은 여전히 복구 중이다. 복구 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제방 사면에 돌을 끼워 넣어 무너지지 않게 하는 호안 작업을 마무리하고 있었다.
대전시에서는 지난 4월 갑천 준설 작업을 끝내는 등 수해 피해를 위해 대비했다고 하지만 주민들에게는 여전히 아쉬운 부분들이 많다.
마을에서 오이 비닐하우스 농사를 짓는 김환수(69)씨는 "튼튼하게 제방을 쌓아달라고 했지만, 여전히 공사 중이고 준설작업도 제대로 안 됐다"며 "마을의 물을 바깥으로 빼내는 펌프장의 펌프 용량을 높여달라고 계속 요구했으나 아직도 바뀐 게 없다"고 하소연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번 준설은 강의 하중도와 퇴적물 등을 제거하는 정도의 작업만 했다"며 "정비 준설은 홍수위 등을 측정해 하천기본계획에 반영이 돼야 할 수 있는 부분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금강유역환경청과 협의해 하천 정비와 방재 시설 확충을 병행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김환수 씨는 지난해 수해는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라고 주장했다.
그는 "물이 한꺼번에 하천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방의 약한 부분이 터졌고 그래서 마을이 물에 잠긴 것"이라며 "예산을 제대로 확보해 사전에 충분히 호우 피해를 막을 노력을 한다면 작년과 같은 인재는 다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 갑천 상류 제방 복구 작업 현장 [촬영 강수환]
100여명이 모여 사는 충북 제천시 금성면 주룽 2리 마을도 상황은 비슷하다.
박동연 이장은 마을 일대가 물에 잠겼던 5년 전인 2020년 여름을 여전히 잊지 못한다. 그해 8월 2일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물 폭탄이 온종일 퍼붓더니 마을을 가로지르는 대사천(소하천) 물이 역류하기 시작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하천에서 200m가량 떨어진 초등학교까지 물이 차올랐다.
이날 하루에 내린 비의 양만 259㎜. 다행스럽게 별다른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일부 주민은 긴급 대피했고 주택 일부도 침수됐다. 하천 주변 농경지가 물에 모두 잠겨 농민들은 한 해 농사를 포기해야만 했다.
청풍호(충주호의 제천 지명)로 유입되는 길이 4.75㎞의 대사천은 여름 장마철을 제외하고 대부분 말라 있다. 하지만 장마철이면 무섭게 돌변한다. 물길이 좁은 데다 제방도 낮은 터라 폭우만 오면 금세 차올라 마을을 위협한다.
박 이장은 "최근 들어 기상이변으로 엄청난 양의 비가 순식간에 내리는 사례가 많다고 하는 데 올여름은 무사히 넘길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충북 제천시 금성면 대사천 [촬영 김형우]
시는 올해 장마철을 앞두고 예방적 차원에서 하천 일부 구간에 대한 퇴적물 준설 공사를 했다. 하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해 대대적인 하천 정비가 필요하다는 게 주민들의 요구다.
이런 지적에 따라 시는 2022년 이곳을 재해예방지구(대사지구)로 지정하고, 국비를 확보해 하천 주변 3만6천㎡를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듬해 행정안전부 정비사업 공모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지금껏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한 주민은 "시간이 많이 흘렀는데도 아직 정비가 이뤄지지 않으니 답답할 따름"이라며 "여름철에 맘 편히 살아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진방 김형우 강수환 기자)
swan@yna.co.kr
vodcast@yna.co.kr
chinakim@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